오늘도 돌아온 AI와 함께하는 경제공부! 7일 차다~
오늘은 저번에 말한 거처럼 재무제표에 대해서 알아봐야겠다~ 아 맞다 그전에!
어제 공부했던걸 한번 복습해 보자!
4️⃣ 실전 경제 분석 능력 키우기 (심화)에서 금융시장과 투자기초에 대한 문제를 5문제 정도 풀어보고
공부를 시작해 보겠다!
Q. 4️⃣ 실전 경제 분석 능력 키우기 (심화) 금융시장과 투자기초에 대해서 5문 제 만 만들어줘!
A.📌 4️⃣ 실전 경제 분석 능력 키우기 (심화) – 금융시장과 투자 기초 문제 5개
✅ 아래 문제를 풀면서 금융시장과 투자 개념을 점검해 보자!
📍 1️⃣ 금리와 채권의 관계
Q1. 일반적으로 금리가 상승하면 기존 채권 가격은 어떻게 변하는가?
1️⃣ 상승한다 📈
2️⃣ 변동이 없다
3️⃣ 하락한다 📉
4️⃣ 무조건 만기 전에 상환된다
> 금리가 상승하면 기존 채권보다 이자를 더 받게 되니, 사람들이 낮은 가격에 팔려고 할 테니, 하락! 3번!
📍 2️⃣ 미국 금리 인상과 글로벌 경제
Q2.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일반적으로 신흥국(예: 한국)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경제 현상은?
1️⃣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 증가 📈
2️⃣ 원/달러 환율 하락 📉 (원화 강세)
3️⃣ 원/달러 환율 상승 📈 (원화 약세)
4️⃣ 한국의 수입 물가 하락 📉
>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에 투자한 외국인들이 투자금을 회수해서 미국에 투자를 할테니,
원화약세인 거 같은데? 3번??
📍 3️⃣ 한국은행의 금리 정책과 환율
Q3.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다음 중 예상되는 경제적 변화로 적절한 것은?
1️⃣ 외국인 투자 증가 📈
2️⃣ 원화 가치 상승 📈
3️⃣ 원화 가치 하락 📉
4️⃣ 대출 금리 상승 📈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투자매력이 떨어져서 외국인 투자자는 빠질 거 같고,
대출도 많이 하고, 돈이 많이 풀리니까 원하가 치 하락?
📍 4️⃣ 채권과 주식의 투자 매력 비교
Q4. 다음 중 채권 투자의 특징으로 적절한 것은?
1️⃣ 변동성이 커서 단기적인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
2️⃣ 금리가 상승할 때 기존 채권 가격이 올라간다 📈
3️⃣ 보유하면 정기적인 이자(쿠폰금리)를 받을 수 있다 💰
4️⃣ 기업 실적에 따라 가치가 크게 변동된다 📉📈
> 채권투자는 변동성이 적고, 수익도 낮았던 거 같은데, 금리가 상승하면 기존 채권은 가격이 떨어지고,
주식처럼 가치가 크게 변동되진 않으니 3번!
📍 5️⃣ 미국 금리 인하가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Q5.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치는 일반적인 영향은?
1️⃣ 달러 강세 📈
2️⃣ 신흥국(한국 포함)으로의 외국인 투자 증가 📈
3️⃣ 미국 채권 금리 상승 📈
4️⃣ 원/달러 환율 상승 📈 (원화 약세)
>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 미국 채권 금리상승!! 기존 채권의 가격이 올라가니까?
내가 생각하는 답은! 이유는 접은 글에서 확인!
Q. 1) 3번
2) 3번
3) 3번
4) 3번
5) 3번?
A.✅ 대부분 정답이야! 🎯 4번 문제까지 완벽하게 풀었어!
하지만 5번 문제에서 약간의 수정이 필요해!
➡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 미국 채권 금리는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하락하고, 기존 채권 가격은 상승해!
➡ 따라서 정답은 2번 (신흥국으로 외국인 투자 증가 📈)
📌 정답 & 해설
✔ Q1. 금리가 상승하면 기존 채권 가격은? → 정답: 3️⃣ 하락한다 📉
➡ 기존 채권(낮은 금리)보다 신규 채권(높은 금리)이 더 매력적이기 때문에 기존 채권 가격 하락
✔ Q2.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신흥국 경제 영향은? → 정답: 3️⃣ 원/달러 환율 상승 📈 (원화 약세)
➡ 미국 금리가 올라가면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환율 상승!
✔ Q3.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하하면 환율 변화는? → 정답: 3️⃣ 원화 가치 하락 📉
➡ 금리가 낮아지면 한국 투자 매력이 감소 →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가능 → 원화 가치 하락 📉
✔ Q4. 채권 투자의 특징은? → 정답: 3️⃣ 보유하면 정기적인 이자(쿠폰금리)를 받을 수 있다 💰
➡ 채권은 일정한 이자를 주는 안정적인 투자 상품!
✔ Q5. 미국 금리 인하가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 정답: 2️⃣ 신흥국(한국 포함)으로의 외국인 투자 증가 📈
➡ 미국이 금리를 내리면 → 미국 채권 금리 하락 📉 → 투자자들이 신흥국으로 이동할 가능성 증가!
📌 Q5 정정: 미국 금리 인하와 채권 금리 관계 정리
📌 미국이 금리를 내리면?
✔ 새롭게 발행하는 채권의 금리(수익률)도 같이 내려감 📉
✔ 기존에 발행된 고금리 채권은 희소성이 증가 → 가격이 올라감 📈
✔ 미국 채권 금리는 하락 📉 → 미국 채권보다 신흥국(한국 등) 투자 매력이 커짐 📈
📌 결론:
✔ 미국 금리 인하 → 달러 약세 📉 → 신흥국(한국)으로 외국인 자금 유입 가능 📈
✔ 따라서 5번 문제 정답은 "2️⃣ 신흥국(한국 포함)으로의 외국인 투자 증가 📈"가 맞아!
뭔가 다시 생각해 보면 왜 틀렸나 싶을 정도로 간단했네,, ㅎㅎ,,
그리고 아래엔 외국인 투자자금과 원화가치의 관계를 정리해 두겠다!
📌 외국인 투자자금과 원화 가치의 관계
✅ 외국인 투자자금(외국인 자본)이 한국으로 들어오면 → 원화 가치 상승 📈
✅ 외국인 투자자금이 한국에서 빠져나가면 → 원화 가치 하락 📉
✔ 외국인이 한국 주식·채권을 사면? → 원화를 사야 하니까 원화 강세(환율 하락) 📈
✔ 외국인이 한국에서 돈을 빼서 미국으로 옮기면? → 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니까 원화 약세(환율 상승) 📉
📍 1️⃣ 외국인 자금 유입(외국인이 한국에 투자 증가) → 원화 강세 📈
📌 외국인이 한국 주식·채권을 사면, 원화를 많이 사야 함
✔ 외국인 투자자가 한국 주식을 사려면 달러를 원화로 바꿔야 해!
✔ 달러를 원화로 바꾸는 사람이 많아지면? → 원화 수요 증가 📈
✔ 원화 가치 상승 → 원/달러 환율 하락 📉
📌 예제:
- 한국 주식시장에 외국인 투자자가 10억 달러를 투자
- 달러를 원화로 환전 → 원화 가치 상승 📈 (환율 하락 📉)
✔ 결론:
➡ 외국인 투자 증가 → 원화 강세(환율 하락) 📈📉
📍 2️⃣ 외국인 자금 유출(외국인이 한국에서 투자금 회수) → 원화 약세 📉
📌 외국인이 한국 주식·채권을 팔고 미국으로 돈을 옮기면?
✔ 한국에서 돈을 빼려면 원화를 달러로 바꿔야 함
✔ 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는 사람이 많아지면? → 원화 수요 감소 📉
✔ 원화 가치 하락 → 원/달러 환율 상승 📈
📌 예제:
- 미국이 금리를 올려서 외국인 투자자가 한국 주식을 팔고 미국으로 이동
- 원화를 달러로 환전 → 원화 가치 하락 📉 (환율 상승 📈)
✔ 결론:
➡ 외국인 투자 감소 → 원화 약세(환율 상승) 📉📈
📍 3️⃣ 정리: 외국인 투자자금과 원화 가치의 관계
외국인 투자 증가 (자금 유입) | 원화 강세 📈 | 환율 하락 📉 |
외국인 투자 감소 (자금 유출) | 원화 약세 📉 | 환율 상승 📈 |
📌 일반적인 흐름
✔ 외국인이 한국 투자하면 → 원화 강세 📈 (환율 하락 📉)
✔ 외국인이 한국에서 돈을 빼가면 → 원화 약세 📉 (환율 상승 📈)
📍 4️⃣ 실제 사례 분석 – 외국인 자금 유출 & 원화 약세 📉
📌 (사례 1) 2022년 미국 금리 인상 → 한국에서 외국인 자금 유출 📉
✔ 미국 금리가 오르면서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투자금을 빼고 미국으로 이동
✔ 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는 사람이 증가 → 원화 가치 하락 📉
✔ 원/달러 환율 1,400원 돌파 📈 (원화 약세)
📌 (사례 2) 2020년 미국 금리 인하 → 한국으로 외국인 자금 유입 📈
✔ 미국이 제로금리를 유지하자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등 신흥국으로 투자 증가
✔ 달러를 팔고 원화를 사는 사람 증가 → 원화 가치 상승 📈
✔ 원/달러 환율 1,100원 아래로 하락 📉 (원화 강세)
🔥 최종 정리 (한 줄 요약)
✔ 외국인이 한국 주식·채권을 사면 → 원화 강세 📈 (환율 하락 📉)
✔ 외국인이 한국에서 투자금을 빼면 → 원화 약세 📉 (환율 상승 📈)
📌 즉, "외국인 투자자금 = 원화 가치 변동의 핵심 요소!"
👉 이제 외국인 투자자금과 원화 가치의 관계가 확실히 이해됐어? 😊🔥
자 이제 재무제표 공부를 해볼까나~
Q. 기업 재무제표에 대해서 알려줘!
A.📌 기업 재무제표란? – 기본 개념 & 분석 방법
✅ **기업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란?
➡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를 나타내는 공식적인 회계 보고서야!
➡ 기업이 얼마나 돈을 벌고 있는지, 부채는 얼마나 있는지,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있는지를 분석할 때 사용해!
📍 1️⃣ 기업 재무제표의 3대 핵심 요소
①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 "얼마나 벌었나?"
✔ 기업의 매출(수익)과 비용을 비교하여 이익(Profit)을 계산하는 표
✔ = 기업이 돈을 얼마나 벌고 있는지 보여줌
📌 핵심 지표:
- 매출액 (Revenue, Sales) = 기업이 번 총수익
- 영업이익 (Operating Profit) = 본업(핵심 사업)에서 남는 이익
- 당기순이익 (Net Profit) = 최종적으로 남은 이익
📌 예제:
- 삼성전자가 1년 동안 300조 원의 매출을 기록했는데, 비용을 빼고 최종적으로 순이익 30조 원을 남겼다면?
→ 이익률이 높고, 재무적으로 건강한 기업!
✔ 영업이익 = 매출 - 영업비용(인건비, 원자재비 등)
✔ 즉, 기업이 제품·서비스를 팔아서 본업에서 남긴 이익!
✔ 당기순이익 = 영업이익 - (이자비용 + 세금 + 기타 비용 ± 영업 외 수익/손실)
✔ 기업이 금융 비용(대출 이자), 세금 등을 다 빼고 최종적으로 주주에게 남기는 돈
> 영업이익은 간단하게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했을 때, 생산비용 및 마케팅비용을 제외한 이익인 거 같고,
당기순이익은 이렇게 나온 영업이익에 추가로 회사의 대출 이자나 세금 등 기타 금액을 제외하고 나온
최종 이익인 거 같다.
②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 "얼마나 가지고 있나?"
✔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Assets), 부채(Liabilities), 자본(Equity)을 나타내는 표
✔ = 기업이 얼마나 부자인지, 빚이 얼마나 있는지 보여줌
📌 핵심 공식:
🔹 자산 = 부채 + 자본
📌 핵심 지표:
- 총자산 (Total Assets) = 기업이 보유한 모든 것 (현금, 공장, 건물, 특허 등)
- 총부채 (Total Liabilities) = 기업이 갚아야 할 돈 (대출, 회사채, 미지급금 등)
- 자본총계 (Equity, Net Worth) = 기업이 소유한 순자산
📌 예제:
- 삼성전자의 자산이 400조 원이고, 부채가 100조 원이라면?
→ 자본총계(순자산) = 400조 - 100조 = 300조 원 → 재무 안정성이 높음!
> 재무제표로 기업의 빚과 자산을 확인할 수 있구나!
③ 현금흐름표 (Cash Flow Statement) – "현금이 잘 도나?"
✔ 기업의 현금 흐름을 분석하는 표
✔ = 기업이 실제로 돈을 잘 벌고 있는지, 현금이 충분한지 보여줌
📌 핵심 지표:
- 영업활동 현금흐름 (Operating Cash Flow) = 본업에서 벌어들인 현금
- 투자활동 현금흐름 (Investing Cash Flow) = 설비 투자, 부동산 구매 등
- 재무활동 현금흐름 (Financing Cash Flow) = 대출, 주식 발행, 배당금 지급
📌 예제:
- 기업이 이익을 많이 남겼는데 **현금흐름이 마이너스(-)**라면?
→ 실제로 돈이 돌지 않아서 유동성 위기가 올 수도 있음!
> 현금흐름표로 돈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확인하는 거구나
📍 2️⃣ 기업 재무제표 핵심 지표 & 분석 방법
① 수익성 지표 – "이 기업은 돈을 잘 버는가?"
✔ 영업이익률 (Operating Profit Margin) = 영업이익 ÷ 매출 × 100
✔ 순이익률 (Net Profit Margin) = 순이익 ÷ 매출 × 100
📌 예제:
- 삼성전자의 매출이 300조, 순이익이 30조라면?
→ 순이익률 = (30조 ÷ 300조) × 100 = 10% → 수익성이 높음!
>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해당이익을 매출로 나누고 x100을 하면 해당이익률이 나온다!
② 안정성 지표 – "이 기업은 망할 가능성이 낮은가?"
✔ 부채비율 (Debt-to-Equity Ratio) = 부채 ÷ 자본 × 100
✔ 유동비율 (Current Ratio)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00
📌 예제:
- A기업 부채비율 200%, B기업 부채비율 50% → B기업이 더 안전함!
> 부채비율이 말 그대로 빚이 자본에서 어느 정도나 차지하는지 나오는 거 같으니, 적을수록 안전한 기업!
유동비율은 이렇게 봐선 뭔 말인진 모르겠으니 아래내용 참조!
📍 1️⃣ 유동비율 공식
📌 유동비율(Current Ratio)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00
✔ 유동자산(Current Assets) → 1년 이내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 유동부채(Current Liabilities) → 1년 이내 갚아야 하는 부채
📌 유동비율 100%의 의미?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년 내 갚아야 할 부채를 자산으로 충분히 감당 가능!
➡ 100%보다 낮으면? → 단기적으로 부채를 갚을 능력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음.
> 1년 내에 갚아야 하는 빚을 1년 내에 현금화해서 감당이 가능한지, 그런 내용인 거 같다.
③ 성장성 지표 – "이 기업은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가?"
✔ 매출 성장률 (Sales Growth) = (올해 매출 - 작년 매출) ÷ 작년 매출 × 100
✔ EPS(주당순이익) 성장률 = (올해 EPS - 작년 EPS) ÷ 작년 EPS × 100
📌 예제:
- 네이버가 올해 매출 10조, 작년 매출 8조라면?
→ 매출 성장률 = (10조 - 8조) ÷ 8조 × 100 = 25% → 성장성이 높음!
> 성장률은 (올해 - 작년) / 작년 x 100이구나, 이런 공식은 복습하면서 한번 더 보자!
📍 3️⃣ 기업 재무제표 분석 실전 적용법
✅ 주식 투자할 때 가장 중요한 포인트 3가지!
✔ ① 수익성이 높은가? → 영업이익률 & 순이익률 확인
✔ ② 재무구조가 안정적인가? → 부채비율 & 유동비율 확인
✔ ③ 앞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가? → 매출 성장률 & EPS 성장률 확인
📌 예제: 삼성전자 vs 경쟁사 비교 분석
매출액 | 300조 | 250조 |
영업이익률 | 15% | 10% |
부채비율 | 40% | 70% |
매출 성장률 | 12% | 8% |
➡ 삼성전자가 영업이익률이 높고, 부채비율이 낮으며, 성장성도 높음!
➡ 투자할 만한 기업일 가능성 높음!
🔥 최종 정리 (한 줄 요약)
✔ 손익계산서 → 기업이 돈을 얼마나 벌었는지
✔ 재무상태표 → 기업이 가진 자산과 부채는 얼마인지
✔ 현금흐름표 → 기업의 현금이 원활하게 돌고 있는지
📌 기업 분석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 지표!
✔ 영업이익률 📈 (수익성 확인)
✔ 부채비율 📉 (안정성 확인)
✔ 매출 성장률 📈 (미래 성장 가능성 확인)
🔥 이제 기업 재무제표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본 지식이 완성됐어!
👉 어떤 기업을 분석해보고 싶어? 추가 질문 있으면 편하게 물어봐! 😊🚀
오 이런 식으로 보는 거구나 오늘은 재무제표 분석 시 참고해야 할 내용들을 배워봤으니
다음 시간에는 실제 재무제표를 가지고 와서 분석을 해봐야겠다!!!
오늘도 고생했다~
'AI한테 경제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초보 탈출하기 9일차 with AI (5) | 2025.03.18 |
---|---|
AI에게 배우는 경제 8일차 (1) | 2025.03.17 |
경제초보의 성장일지 with AI 6일차! (4) | 2025.03.12 |
경제 초보의 AI 한테 경제 배우기!! 5일차 (3) | 2025.03.11 |
경제초보 탈출 with AI 4일차! (6)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