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5분, 시장의 흐름을 읽다

[2025년 11월 7일] 코스피 4,000선 붕괴…AI 거품 경계·환율 1,456.9원 부담

by Start day 2025. 11. 8.
반응형
[2025년 11월 7일] 코스피 4,000선 붕괴…AI 거품 경계·환율 1,456.9원 부담

[2025년 11월 7일] 코스피 4,000선 붕괴…AI 거품 경계·환율 1,456.9원 부담

오늘 국내 증시는 글로벌 기술주 급락의 영향을 받으며 크게 하락했습니다. AI 거품에 대한 경계감이 확산된 가운데, 환율이 1,450원을 돌파하면서 외국인 매도가 이어졌습니다. 코스피는 10거래일 만에 다시 4,000선 아래로 밀렸습니다.

──────────────────────────

시장 요약

지수종가전일대비
코스피▼ 3,953.76 pt▼ -1.81%
코스닥▼ 876.81 pt▼ -2.38%
원/달러 환율▲ 1,456.90 원▲ +0.66%

① 시장이 반응한 이유

AI 관련 기술주의 밸류 부담이 다시 부각되면서 글로벌 투자심리가 악화됐습니다. 여기에 미·중 간 기술 규제 이슈까지 겹치며 외국인 매도가 확대되었습니다. 원/달러 환율이 1,456.9원까지 상승하며 수급 악화가 지수 하락을 가속했습니다. 이날 외국인은 4,722억 원 순매도, 기관은 3,150억 원 순매수, 개인은 1,630억 원 매수세를 보였습니다.

② 주도 업종 및 주요 종목

반도체·2차전지·방산 업종이 동반 약세였습니다. 삼성전자(-1.31%), SK하이닉스(-2.19%), LG에너지솔루션(-1.38%), 한화에어로스페이스(-4.85%)가 낙폭을 키웠습니다. 반면 카카오(+3.46%)는 3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며 비교적 선방했습니다.

③ 투자 인사이트

지수 하락은 단기 과열 해소와 함께 ‘밸류 조정 + 수급 불안’이 겹친 결과입니다. 환율이 1,450원 이상에서는 외국인 매도세가 강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 구간은 ‘체력 점검 구간’으로, 단기 반등보다는 실적·현금흐름 기반의 방어형 포트폴리오 유지가 유효합니다.

오늘의 3줄 요약

  1. 코스피 3,953.76(-1.81%), 코스닥 876.81(-2.38%)로 급락 마감.
  2. 환율 1,456.9원(+0.66%)까지 상승하며 외국인 4,722억 원 순매도.
  3. AI 거품·밸류 부담 확대, 반도체·2차전지 약세 — 단기 방어 전략 필요.
──────────────────────────

마무리

지수 하락세가 길어질수록 수급 피로가 누적될 수 있습니다. 환율이 1,450원대를 안정적으로 하향 돌파하기 전까지는 공격적 매수보다 관망이 유리합니다. ‘실적·현금흐름 중심 종목 + 환율 안정 신호 확인 후 분할 대응’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오늘 주목 종목: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 LG에너지솔루션 · 카카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내일 아침에는 미국장 마감 동향과 환율 흐름을 중심으로 다시 전해드리겠습니다.

메타 요약: 11월 7일 코스피 3,953.76pt(-1.81%)·코스닥 876.81pt(-2.38%) 하락. 환율 1,456.9원(+0.66%), 외국인 4,722억 원 매도. AI 밸류 부담·환율 급등으로 변동성 확대.


출처: Korea JoongAng Daily (2025-11-07) “Kospi ends 1.81% down on fears of AI bubble, renewed US-China tensions”, 매일경제·한국경제 (2025-11-07 종가 기준) / 한국거래소(KRX) 통합시스템.

반응형